728x90

ai컴퓨터 2

챗GPT 한 번 쓸 때마다 물 반 병, 전기 10배

생성형 인공지능은 인간처럼 사고하고 표현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요약, 번역, 창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고 한다. 특히 챗GPT와 같은 대형 언어모델 기반의 서비스는 질문을 던지면 몇 초 만에 정리된 답을 내놓는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 빠르고 정리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검색보다 훨씬 효율적이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하지만 이 편리함 뒤에는 생각보다 많은 전기와 물이 사용된다고 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구글이나 네이버, 다음 등 일반 검색 한 번에는 약 0.3Wh의 전기가 소비되지만, 챗GPT는 질문 하나에 약 2.9Wh의 전력을 쓴다고 한다. 대략 10배 가까운 차이다. 전력뿐 아니라 냉각을 위한 물 소비량..

산업 2025.04.02

AI 전성시대, 양자컴의 반격이 시작됐다

AI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양자컴퓨터가 함께 언급되는 일이 많아졌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강력한 성능을 보이지만, 암호 해독이나 신소재 개발과 같은 복잡한 계산 문제에서는 한계를 드러낸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특정 유형의 계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연산을 수행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양자컴퓨터는 AI가 다루기 어려운 고차원적 연산과 복잡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어, 두 기술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AI와 양자컴퓨터 간의 협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연구진들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부산에서 열린 한국 양자정보학회의 두 번째 정기 학술대회는 연구의..

산업 2025.02.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