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삼성전자 5

삼성전자는 10년 전, 왜 노트북 사업을 포기했을까?

2014년, 삼성전자는 조용히 노트북 시장에서 발을 뺐다.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노트북 판매를 중단했고, 이후 글로벌 제품 출시도 자취를 감췄다. 당시 삼성의 판단은 명확했다. ‘PC 시대는 끝났고, 태블릿이 대세다’는 흐름을 읽은 것이다. 태블릿 시장은 당시 급격히 팽창하고 있었고, 모바일 중심 생태계는 IT 업계의 미래로 여겨졌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보면, 삼성의 전략은 명백한 오판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태블릿은 예상만큼 성장하지 못했고, 오히려 노트북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재도약의 계기를 맞았다. 업무와 교육, 콘텐츠 소비가 모두 노트북으로 수렴되면서 수요가 다시 활기를 띠었다. 애플은 M1 칩을 앞세워 맥북을 재정의했고, HP·레노버·델은 글로벌 시장을 확고히 장악했다. 삼성전자는..

산업 2025.05.16

삼성전자 플랙트 인수...성장동력? 반도체 피로감?

삼성전자가 독일의 유럽 최대 공조기업 플랙트(FläktGroup)를 2조3천억 원에 인수했다. 데이터센터와 산업시설용 중앙공조 전문 기업인 플랙트는 냉난방공조(HVAC) 분야에서 100년 넘는 업력을 가진 글로벌 강자다. 삼성은 이번 인수를 통해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반도체와 휴대폰을 양 날개로 삼아 달려온 삼성전자가 갑자기 ‘에어컨 회사’를 인수한 배경은 무엇일까. 일반 소비자의 눈에는 다소 생뚱맞게 느껴질 수 있다. 긍정적인 시각에서 보자면, 이번 인수는 반도체와 모바일이라는 기존 수익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다업 다각화 전략’의 일환이다. 데이터센터, 병원, 공항, 박물관 등은 AI·자율주행·로봇 등 신기술 확산과 함께 냉각 안정성이 핵심..

산업 2025.05.14

구글, AI 속도 전쟁 시작…제미나이 2.5 발표의 의미

구글이 새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Gemini 2.5 Flash)’를 발표했다. 발표 시점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였다. 이번 모델은 구글이 제시한 '경량형 AI' 전략의 대표 사례로, 기존 AI와는 결이 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핵심은 ‘빠름’과 ‘가벼움’이다. 단순히 잘 아는 AI가 아니라,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 잘하는 AI를 지향한다. 지금까지 AI는 주로 얼마나 복잡한 사고를 할 수 있는지, 어떤 정밀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챗GPT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제미나이 2.5 플래시는 실시간 요약, 간단한 질의응답, 일정 정리처럼 실용적인 작업을 빠르게 해내는 데 방점을 찍는다. 이는 전문가용 슈퍼 AI..

산업 2025.04.10

이재용이 발길을 돌렸다…삼성의 새로운 판 짜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중국과 일본을 연이어 방문했다. 중국에선 시진핑 주석이 직접 이 회장을 접견했고, 일본에서는 소재·장비 기업들과의 관계 회복에 나섰다. 미국과의 기술 동맹에 주력해온 삼성의 기존 외교 전략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감지된다. 이번 행보는 단순한 ‘현장 경영 복귀’가 아니라, 위기 인식과 전략 전환이 맞물린 결과로 읽힌다. 삼성은 오랫동안 ‘초격차’라는 독주 전략을 고수해왔다.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과 자본, 인재를 집중해 경쟁자를 따돌리는 방식이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D램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공격적 투자를 통해 미국과 일본 기업들을 따돌렸고, 글로벌 시장을 사실상 주도해왔다. 그러나 글로벌 기술 질서가 급변하면서, 초격차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AI 반도체와 전장 산업은 ..

경제 2025.04.03

삼성반도체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은 갤럭시S25

갤럭시 S25가 사전 예약에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번 모델에는 삼성반도체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았다. 삼성전자 MX(Mobile eXperience) 부문은 최고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성능이 뛰어난 퀄컴 반도체를 탑재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했다. 기술 경쟁력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지만, 삼성전자 내 반도체(DS) 부문 입장에서는 뼈아픈 결정이 아닐 수 없다. 삼성반도체가 모바일 주력 제품에서조차 배제된다면, 장기적으로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는 오랫동안 반도체와 모바일을 양대 축으로 삼아 시너지를 창출해왔다. 하지만 최근 두 부문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내부 협력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반도체 시장에서는..

산업 2025.02.25
반응형